1. 서 론
2. 실험 방법
2.1 시료
2.2 열처리
2.3 미세조직관찰 및 정량분석
3. 실험결과 및 고찰
3.1 미세조직
Fig. 1
Optical micrograph of the 25Cr-7Ni-2Mo-4W super duplex stainless steels obtained after austenitizing treatment at 1050℃ for 30min.

Fig. 2
TEM micrograph and SAD pattern showing the χ phase in 25Cr-7Ni-2Mo-4W super duplex stainless steel, aged at 750℃ for 30min.

3.2 χ상의 석출거동
Fig. 3
SEM-BSE micrographs showing the effect of aging time in 25Cr-7Ni-2Mo-4W super duplex stainless steel, aged at 750℃ for various time

3.3 충격인성
Fig. 6
Relationship between the impact value and volume fraction of χ phase in super duplex stainless steel

4. 결 론
(1) χ상은 시효초기에 석출되었으며 시효처리 시간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다 σ상으로 변태되면서 감소하였다.
(2) χ상은 기지 조성보다 Ni의 양은 적고, Cr과 Mo의 양은 많고, 특히 W의 양은 크게 많으며, σ상에 비해 Cr과 Ni의 양은 크게 차이가 없지만 Mo과 W의 양이 많은 금속간화합물이다
(3) Mo의 일부를 W으로 치환하면 페라이트조직이 γ2 상과 σ상으로의 분해가 지연되는데 기인되어 석출되는 χ상의 양은 많았다.
(4) Mo의 일부를 W으로 치환하면 석출되는 χ상이 많아질 뿐만 아니라 W의 고용강화에 의해 충격값은 낮게 나타났다.
(5) 충격인성은 시효처리에 의해 석출되는 χ상에 크게 영향을 받아 시효 초기단계에서 부터 빠르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Mo의 일부를 W으로 치환한 시료에서도 χ상의 석출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